부동산 시장 호황기에 무리해서 부동산을 매입했다가 높아진 이자와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해 경매에 넘어간 물건이 쏟아지고 있다.
10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임의경매 신청한 부동산(건물·토지·집합건물)은 13만9869건으로 집계됐다. 2013년(14만8701건) 이후 최대 규모다. 2023년 전체 임의경매 신청 건수(10만5614건)를 크게 웃돌고 2022년(6만5586건)과 비교하면 두 배 수준에 이른다.
특히 인기 지역인 강남권의 임의경매 물건도 잇따르고 있다. 대치동의 대표 아파트인 은마아파트는 2023년 통틀어 단 두 건만 경매 시장에 나왔고 그마저도 바로 취하됐다. 올해에는 이미 3건(1월 2건, 2월 1건)이 경매 매각일을 앞두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 현대4차 전용면적 118㎡짜리도 최근 임의경매로 나왔다. 집주인의 채권 총액이 69억여원에 이른다. 삼성동의 고급 주상복합단지인 아이파트삼성 전용 269㎡도 주택담보대출을 갚지 못해 경매 시장에 나왔다.
임의경매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원금이나 이자를 석 달 이상 갚지 못했을 때 대출금 회수를 위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2021년 6만6248건, 2022년 6만5586건 등 6만건 중반에 그쳤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금리 장기화 영향으로 대폭 증가했다.
집값 상승기 아파트 매입 시기를 놓쳐 벼락 거지가 될까 서둘러 대출을 끼고 매수에 나섰던 이들이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정부의 대출 규제에 거래마저 위축되면서 퇴로가 막힌 영끌족은 경매로 내몰렸다.
영끌족 매물이 경매로 쏟아져 나오면서 시장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매수심리가 얼어붙은 탓에 낙찰가율은 높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응찰자 수는 7.38명으로 2023년 6.4명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낙찰가율도 92.1%를 기록했는데, 10월 97%를 고점으로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12월에는 91.8%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