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주택보급률이 4년 연속 하락해 2009년 이후 14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인 가구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주택 수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공급 부족 문제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를 보면 2023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5%로 전년 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충분한지를 양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주택보급률이 100%가 넘으면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2010년(100.5%)부터 2019년(104.8%)까지 지속적으로 오른 후 2020년(103.6%)부터 3년 연속 하락했지만 2023년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
다만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보급률은 2019년 96.0%에서 2020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 2023년 93.6%로 4년 연속 하락해 2009년(93.1%)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023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14만17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7만8500가구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6만3000가구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택 공급이 둔화되며 가구 수 분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023년 서울의 주택 준공(입주)은 4만1218가구로 2009년(3만5390가구) 이후 14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는 지속되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민간 아파트 분양 예정량은 14만6000가구다. 이는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분양 이후 1~3년 후에 입주가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2026년부터 공급 절벽 문제가 다시 본격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9.3%), 인천(99.1%), 대전(96.4%) 4곳이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3.1%)이며, 전남(112.6%), 충남(111.7%), 충북(111.2%)순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