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전자상거래 회사 아마존을 설립해 대박을 터뜨린 제프 베이조스는 1999년 운명을 바꿀 영화를 한 편 봤다. 실존 인물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엔지니어 호머 히컴이 어린 시절 탄광 마을에서 불우한 환경을 딛고 발사체(로켓) 개발의 꿈을 키워가는 과정을 그린 ‘옥토버 스카이(October Sky)’라는 영화다. 여기서 영감을 얻은 베이조스는 사재를 털어 이듬해 9월 새 회사를 창업한다. 스페이스X와 쌍벽을 이루는 민간 우주 기업 ‘블루오리진(Blue Origin)’이다. 블루오리진은 인류의 우주 시대를 열 기원(origin)인 푸른 별 지구를 뜻한다.
블루오리진은 기존보다 훨씬 싼 비용으로 우주 공간에 사람과 물자를 실어 나를 수 있는 로켓 개발에 매진해 왔다. 이를 위해 25억 달러를 들여 개발한 초대형 우주로켓 ‘뉴 글렌’의 첫 발사를 몇 차례의 일정 변경 끝에 이달 16일 실행한다. 블루오리진은 우주 궤도 수송선 ‘블루링’도 자체 개발했다. 이를 뉴 글렌에 탑재해 발사에 성공하면 우주 물류 서비스 산업의 중간 거점을 선점할 수 있다. 또 뉴 글렌에 대규모 통신 위성군을 실어 지구 궤도에 띄우면 전 세계를 망라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서비스망을 구축하게 된다.
베이조스는 우주 사업에 집중하려고 2021년 아마존의 경영에서 손을 뗐다. 아마존 주식 등을 판 돈으로는 블루오리진에 100억 달러 이상이나 쏟아부었다. 그럼에도 천문학적 사업 비용을 홀로 대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런 블루오리진에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한 것이 미국 정부다. 나사가 정권을 초월한 대규모 우주 탐사 사업 발주로 블루오리진의 젖줄이 돼 줬다. 블루오리진은 올해 달 탐사에도 나설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맞물려 글로벌 우주 패권 경쟁이 한층 격화될 듯하다. 한국에선 한화그룹이 우주 산업에 뛰어들었지만 자본·기술·인재 측면에서 아직은 중과부적이다. 우리도 2040년 1조 1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우주 산업 공략을 위해 민관정 국가 총력전을 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