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국 인력과 제조 장비의 해외 이전을 엄격하게 제한하며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비하고 있다. 트럼프의 취임과 동시에 중국을 겨냥한 고율 관세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비용 부담을 느낀 기업들의 ‘생산 기지 탈(脫)중국’이 잇따를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관세가 더 붙기 전 미국에 보내려는 화물이 늘면서 중국발 미국행 컨테이너 물동량도 지난해 미국 대선 이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18일(현지 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인도와 동남아시아 지역의 첨단 제조에 필요한 인력과 특수 장비의 해외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당국은 규제 기관과 지방정부에 기술이전·장비 수출을 제한하도록 구두로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자국의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일자리 감소를 막으며 미국의 새로운 무역 장벽 도입 시 외국 기업들의 중국 이탈을 막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이 같은 지시로 애플의 핵심 파트너사인 대만 폭스콘은 중국 직원들을 인도 공장으로 파견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 생산에 차질을 빚을 정도는 아니지만 인도 공장에 필요한 특수 장비도 중국에서 추가로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인도는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애플의 핵심 전략 국가로 주목받아왔다. 특히 인도 첸나이의 폭스콘 공장은 인도의 아이폰 수출량의 약 절반을 담당하는 거점이다.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중국은 폭스콘이 다른 지역으로 생산을 더 다각화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중국의 장비 수출 제한은 인도의 전기차와 태양광 패널 제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전기차 제조 업체 비야디(BYD)의 인도 법인과 인도 최대 태양광 패널 제조 업체 와리에너지가 장비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7월 자국 자동차 업체들에 ‘인도에 자동차 관련 투자를 하지 말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 밖에도 베트남·말레이시아·태국 등 동남아 국가 제조 기업들도 중국의 제한 조치 영향권에 들어갔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유안타증권의 우즈 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1기부터 시작된 외국 기업들의 탈중국 현상이 2기 때 더 가속화할 것”이라며 “이런 상황은 단기간 내 개선되기는 어렵고 오히려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모든 국가를 동등하게 대우하며 세계 각국 기업에 열려 있다”며 “다른 국가의 이익을 해치면서 자국의 이익을 추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발 고율 관세를 피하려는 ‘수출 물량 밀어내기’도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조사 회사 데카르트데이터마인에 따르면 2024년 12월 아시아발 미국행 컨테이너 수송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한 171만 6604TEU(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실내) 소비 수요가 급증했던 2021년 12월의 수치(170만 TEU)를 넘어선 ‘12월 기준 사상 최고치’다. 전체 물동량의 60%를 차지하는 중국발 수송량이 17% 늘어나 전체 수치 증가를 견인했다. 한 컨테이너선사 관계자는 “미국 대선 이후 12월 선적 예약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에 60%, 전체 교역국에 10~20%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통상 컨테이너선 업계는 10월 이전까지 연말 특수를 위한 수송을 마치고 11~12월은 비수기에 접어든다. 그러나 지난해는 기존의 계절 특성과 달리 연말까지 수요가 강세를 보였고 10~12월 수송량이 예상을 웃돌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