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월 임시국회에서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격돌을 이어간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여야는 민생·경제 입법을 통해 중도층 지지를 끌어낸다는 전략이다.
여야는 3일 임시국회 개회식을 연 후 10~11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나선다. 먼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근 우클릭 행보를 ‘말 바꾸기’로 몰아세우며 강공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 대표는 11일 연설을 통해 내란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 의지를 다지며 민주당의 수권 능력을 보여준다는 구상이다. 국회는 12일 정치·외교·안보·통일 분야를 시작으로 13일 경제, 14일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도 진행한다.
여야간 이견을 보인 주요 민생 법안들이 2월 국회에서 성과를 낼지도 관심이다. 중국 딥시크가 촉발한 ‘인공지능(AI) 쇼크’로 어느 때보다 민생·경제 법안 처리 요구는 커진 상황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달 말 국무회의에서 국회에 국가 전력망확충 특별법과 해상풍력법, 고준위방폐장법 등 ‘첨단에너지 3법’과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지원할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의 조속한 입법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역시 첨단에너지 3법을 반도체 특별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규정하며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에너지 3법의 경우 설 연휴 전 여야 정책위의장 회동을 통해 의견 접근을 이룬 만큼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22대 국회 출범 후 사실상 중단된 연금 개혁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도 주목된다.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 “초당적이고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연금 개혁이 일부나마 시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신속히 모수 개혁부터 2월 안에 매듭짓기를 바란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한 뒤 모수·구조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