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월 임시국회에서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격돌을 이어간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여야는 민생·경제 입법을 통해 중도층 지지를 끌어낸다는 전략이다.
여야는 3일 임시국회 개회식을 연 후 10~11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나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일 연설을 통해 내란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 의지를 다지며 민주당의 수권 능력을 보여준다는 구상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일 이 대표의 최근 우클릭 행보를 ‘말 바꾸기’로 몰아세우며 강공을 이어갈 방침이다. 국회는 12일 정치·외교·안보·통일 분야를 시작으로 13일 경제, 14일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도 진행한다.
여야 간 이견을 보인 주요 민생 법안들이 2월 국회에서 성과를 낼지 또한 관심이다. 중국 딥시크가 촉발한 ‘인공지능(AI) 쇼크’로 어느 때보다 민생·경제 법안 처리 요구가 커진 상황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말 국무회의에서 국회에 국가 전력망확충 특별법과 해상풍력법, 고준위방폐장법 등 ‘첨단에너지 3법’과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지원할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의 조속한 입법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역시 첨단에너지 3법을 반도체 특별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규정하며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에너지 3법의 경우 설 연휴 전 여야 정책위의장 회동을 통해 의견 접근을 이룬 만큼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22대 국회 출범 후 사실상 중단된 연금 개혁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도 주목된다.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 “초당적이고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연금 개혁이 일부나마 시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신속히 모수 개혁부터 2월 안에 매듭짓기를 바란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한 뒤 모수·구조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