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9219건에 달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계엄령이 선포된 같은 해 12월 3000건을 겨우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와 정치적 불확실성이 더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올 1월 거래량은 이보다 하락한 1458건으로 집계되면서 본격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 우려가 나온다.
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094건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219건 수준이었던 지난해 7월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 9월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가 본격화하면서 하향 곡선을 크게 그리기 시작했다. 9월에는 3169건, 10월 3817건, 11월 3359건으로 집계됐다.
이날 기준 1월 거래량은 1458건으로, 부동산 계약 후 신고기한이 한 달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늘어날 가능성은 있지만 2000건대 초반에 머무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평균 매매 가격도 하락세다. 지난해 9월 12억5859만 원이었던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 가격은 이듬달부터 꾸준히 하락해 같은 해 12월 11억7781만 원으로 내려갔다. 올 1월에는 11억5082만 원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4달새 1억 원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거래량이 늘어날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1월은 과거 극강의 거래 부재시절이던 2000건대에 머물것으로 예측된다”면서 “대통령 탄핵이라는 비상정국에 경기침체 우려로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지만 가격을 낮춘 급매물은 나오지 않으니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이어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낮춰서라도 부동산 시장 침체를 극복할 방안들을 찾아야 할 시점이 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