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포문을 열면서 3일 증시와 원화·채권·가상자산·금 등 5대 시장이 급격히 요동쳤다. 이날 코스피는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로 전 거래일 대비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로 장을 마감했다. 관세가 물가를 자극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채권금리는 급등했고 원화 가치와 가상자산도 급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보다 14.5원 급등한 1467.2원에 이르렀다. 비트코인은 한때 9만 1000달러대까지 떨어졌다. 반면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은 장중 트로이온스당 2798.59달러까지 올라 지난해 10월의 최고가를 경신했다.
막 오른 관세 전쟁 속에서 각국 정상들은 국익을 위해 동분서주하는데 한국은 계엄·탄핵 정국으로 속수무책 상황에 처해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달 7일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는 반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할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행’이라는 시스템 한계 탓에 발등의 불조차 끄지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최 대행은 3일 수출 기업 오찬 간담회에서 ‘트럼프 쇼크’를 언급하며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트럼프 쇼크’의 파고를 넘기 위한 의지와 촘촘한 비상 대책을 밝혀도 국회의 뒷받침이 없으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계엄·탄핵 정국 혼란에 ‘트럼프 스톰’까지 중첩된 복합 위기를 극복하려면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여야정 국정협의체를 즉시 가동해야 한다. 정부 주도로 비상 대책을 수립하되 여당도 집권당답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고 거대 야당은 입법 뒷받침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 여당 지도부가 3일 내란 혐의로 구속된 윤 대통령을 면회하고 옥중 메시지까지 전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 여당은 계엄 사태에 대해 반성하면서 정책과 비전으로 경제를 챙기는 것이 중도층 외연을 확장하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여야가 조기 대선을 의식한 소모적 정쟁을 멈추고 경제·민생 살리기 경쟁을 벌여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