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이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보조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는 절차를 도입한다. 확인된 수하물에만 스티커나 택(TAG)을 부착하고 기내에서는 이 표식이 부착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할 수 있도록 통제를 강화한다. 에어부산은 이 같은 대책을 오는 7일부터 일부 노선에 시범 운영한 후 모든 노선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를 전면 금지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을 감안해 탑승객 스스로의 점검을 유도하고 배터리의 이상 현상이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뒀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가 큰 폭으로 늘어난데다 발열 등 이상 현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안전 강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예약 및 발권 단계에서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동의 절차를 시행하고 출발 하루 전 예약 고객에게 별도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대고객 안내를 강화한다. 기내 안내 방송도 기존 2회에서 3회로 확대하고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 또는 폭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와 방화 장갑도 항공기에 구비할 계획이다.
정병섭 에어부산 대표이사는 “기내 화재에 대한 손님들의 우려와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여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강화 정책을 수립했다”며 “사내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고취와 역량 강화를 비롯해 항공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