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어려운 적은 처음이다”
지난해 전국 헬스장 폐업 수가 역대 최고로 치솟으면서 역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현장에선 코로나19 사태 때보다도 더 어렵다는 얘기마저 나온다.
3일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체력단련장업의 폐업수는 전년보다 26.8% 증가한 553곳이었다. 이는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코로나19 사태로 영업 제한이 잇따랐던 2020년(430곳), 2021년(402곳)보다도 많다. 올해 들어서도 벌써 36곳이 문을 닫았다.
실제 각종 헬스장 인수·양도 커뮤니티에서는 권리금을 받지 않는 ‘무권리 헬스장’이 매물로 쏟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무권리 헬스장은 1~2년 이상을 버티기 어려운 만큼 앞으로 사실상 폐업한 헬스장은 통계상으로 나타난 것보다 훨씬 많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헬스장 폐업이 급증한 이유는 경기침체로 여가생활 지출이 줄어든 데다 출혈 경쟁이 심해진 탓이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국민여가활동’ 조사에 따르면 여가 활동에 쓴 비용은 월평균 18만7000원으로 전년(20만1000원) 대비 1만4000원 줄었다.
문체부는 “동영상 시청, 인터넷 검색과 편집 등 비대면 온라인 여가 활동의 증가와 함께 물가 상승이라는 외부 요인으로 소비가 위축돼 문화예술 관람, 스포츠, 관광 등 직접 참여 활동 대신 휴식이나 취미 오락 활동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전국에서 속출하고 있는 필라테스·요가·헬스장 등 생활 체육시설 업체의 돌연 폐업으로 소비자들의 불신이 증가했다. 특히 헬스장에서 회원에게 선결제를 유도하고 일방적으로 폐업하는 피해가 속출했다.
정부는 이 같은 피해 예방을 위해 4월 23일부터 휴·폐업 예정일 14일 전까지 헬스장 등이 해당 사실을 회원에게 알리도록 했다. 위반 시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