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지방, 서울과 수도권 등 지역별로 아파트 매매가격의 양극화가 커지는 상황에 청약 시장에서도 극과 극 결과가 나오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 인기지역에는 청약 지원자가 몰리는 반면 지방 단지는 미분양 위기에 내몰렸다.
6일 부동산R114가 한국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4일 1순위 청약이 진행된 서울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원페를라는 일반분양 총 482가구 중 특별공급을 제외한 268가구 모집에 총 4만 635건의 청약 통장이 접수돼 평균 151.62대 1의 경쟁률로, 전 타입 해당 지역에서 마감됐다. 전용면적 59㎡ B타입에서는 일반공급 30가구 모집에 총 9223명이 몰려 평균 307.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앞서 래미안 원페를라는 특별공급에서도 청약 수요가 몰렸다. 지난 3일 진행한 특별공급에서 214가구 모집에 1만 8129명이 청약을 접수해 평균 경쟁률이 84.71대 1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날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지방 단지에서는 신청자가 모집 정원의 10%도 채 되지 않았다. 유림 E&C가 건축한 울산시 울주군 남울산노르웨이숲은 1순위 청약에서 328가구 모집에 15가구가 지원하는 데 그쳤다. 광주 광산동에 한양 건설이 시공한 한양립스에듀포레는 111가구 모집에 19가구가 지원해 미달이 발생했다.
이처럼 지방 단지들의 미분양 적체가 해결되기 전에는 수도권 내 선호지역과 지방 간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국토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173가구로 집계됐다. 이중 수도권 미분양이 1만 6997가구로 전월대비 17.3%(2503가구) 늘었고 지방은 5만 3176가구로 5.0%(2524가구)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1480가구로 나타났으며 이 중 80%인 1만 7229가구가 지방에 몰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비수도권에서만이라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등 규제의 지역별 차별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앞서 지난 4일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경제분야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 이후 “비수도권 준공 미분양 사태에 대해 DSR 대출 규제의 한시적 완화를 금융위원회와 국토부에 요청했고, 금융위에서 면밀하게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