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대립각을 세우려는 게 아닙니다. 4개 시의 숙원인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실현하기 위해 1% 잘못된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혼신의 힘을 기울이는 중입니다. 김 지사는 만나서 협의해야 합니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지난 3일 시청 집무실에서 가진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꼬일대로 꼬인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 지사가 자신을 비롯해 이해관계가 얽힌 지자체장들과 만나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눠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인시를 포함 수원, 화성, 성남시 등 4개 시가 공동추진하는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은 서울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시작해 성남을 지나 용인·수원·화성으로 이어지는 총연장 50.7㎞의 수도권 광역철도를 잇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5조2750억 원에 달한다. 4개 시 공동 용역에서는 경제성(B/C)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가 360조 원을 투자하는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SK하이닉스가 122조 원을 투자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가 조성되면서 용인에는 ASML코리아나 램리서치코리아, 도쿄일렉트론코리아 등 세계적 반도체 장비업체를 중심으로 많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속속 둥지를 틀고 있다. ‘반도체 특수’로 인해 유입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광역철도망 확충이 시급한 용인시가 가장 적극적으로 나섰다.
경기도가 지난 2023년 4개 시와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는 상생협약을 체결한 것은 이 같은 상황과 무관치 않다. 순항할 것 같던 이 사업은 지난해 5월 국토교통부가 전국 광역지자체에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3개 우선 순위를 정해 제출하라는 공문을 보내면서 삐거덕거리기 시작했다. 경기도는 GTX 플러스 사업 3개를 우선순위로 제출했다. 공교롭게도 경기남부광역철도는 이 안에 끼지 못했다. 이 시장은 경기도가 우선 순위에 올려놓은 사업이 김 지사의 공약사업이며, 용인시를 비롯한 4개 시의 숙원사업은 이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반발에 경기도는 경기남부광역철도가 경제성이 보장되는 사업인 만큼 별도 추진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세우면서 이 시장 등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한다는 입장이다.
이 시장은 이에 대해 “경기도가 김 지사의 사업만을 우선순위 3개로 올려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어 시는 사업을 함께 추진 중인 수원, 화성, 성남시와 함께 지사를 만나 설명을 듣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려고 했다”며 “그러나 김 지사는 작년 9월 16일 저녁 전화 통화를 할 때 약속하고도 이후 면담에 응하지 않았고, 11월 11일 시장·군수 간담회에서도 면담 약속을 해놓고 그 약속 또한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토교통부가 ‘우선순위 3개’를 제출하라고 한 것은 국토부 나름 필요했기 때문이며, 지금까지도 그 숫자는 변하지 않았다”며 “최악의 경우 우선순위가 아닌 사업들은 검토 대상에 오르지 못할 수도 있다. 이 사업이 국가 계획에 반영될 때까지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경기도가 제출한 3개 우선순위 사업과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시민들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B/C값 공개와 공개토론을 요구하고 있다.
이 시장은 김 지사와 대립각을 세우지도 않았고, 그럴 의도도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김 지사와 대립각을 세우는 것이 차기 도지사 선거를 염두에 둔 행보라는 일각의 분석에 대해서는 "도지사 선거에 나갈 생각이 없다. 용인시장 직에 더 매진하고 싶다”며 “지금 용인시가 추진하는 초대형 사업들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그 어느 사업보다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