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 인빅터스 게임’을 유치해 상이군인에 대한 예우를 드높이는 계기로 삼겠습니다.”
‘2025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제7회 세계상이군인체육대회)’ 개막식 참석차 밴쿠버를 방문한 이희완 국가보훈부 차관은 8일(현지 시간) 밴쿠버컨벤션센터에서 가진 보훈부 공동취재단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차관은 “현장에서 개막 행사를 보면서 ‘우리 상이군인들을 위해 할 일이 생겼구나’ 하는 책임감을 갖게 됐다”며 “우리나라 상이군인들을 위해 반드시 2029년 대회를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2029 인빅터스 게임을 대전에 유치하려고 한다”며 “내일(현지 시간 9일) 영국 해리 왕자 등 인빅터스게임재단(IGF)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유치의향서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2029 인빅터스 게임’ 유치를 위해 이 차관을 단장으로 한 대표단을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 현장에 파견했다. 그는 유치 전략에 대해 “인빅터스 게임 유치를 계기로 상이군인에 대한 예우를 드높이는 사회·문화적 기반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재단 측에 설명하겠다”며 “실제로 우리 정부는 이 같은 목표로 제도적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차관은 인빅터스 게임 유치 의미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에서 열리면 아시아 첫 개최이기 때문에 IGF 재단 측에서 이 점에 의미를 둘 수 있어 (유치) 가능성이 높다”며 “유럽과 미주 중심의 인빅터스 게임이 아시아로 확산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도 2002년 제2연평해전 당시 다리에 총상을 입은 상이군인이다. 그는 상이군인으로서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 개막식을 본 소감을 묻자 “관중이 연설과 공연 하나하나에 기립박수를 치는 장면에 감동했다”며 “상이군인을 위한 정책에 더 책임감을 갖게 됐다”고 답했다.
인빅터스 게임은 스포츠를 통한 상이군인 재활을 위해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던 해리 왕자(찰스 3세 영국 국왕의 차남) 주도로 창설돼 2014년 영국 런던에서 처음 열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