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철강제품에 25% 관세 부과 등 트럼프 행정부발(發)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는 상황에 대해 “우리 이익이 최대한 반영되는 방향으로 대미(對美)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철강·알루미늄 등에 대한 미국의 관세 조치 발효일인 3월 12일까지 시간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미국우선주의 정책이 빠르게 현실화하는 통상 환경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 뿐만 아니라 상호 관세 부과도 예고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그간 준비했던 조치 계획을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최 권한대행은 “업계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지만 동등한 경쟁 조건으로 기회요인도 존재한다. 업계와 소통하면서 철강 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불가피하게 피해를 입는 기업에 대해서는 필요한 지원 방안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일본, 유럽연합(EU) 등 우리와 상황이 비슷한 국가의 동향을 살피고 공동 대응방안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최 권한대행은 “우리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기 위해 트럼프 정부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구축하고 대외 정책공간을 넓히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외교·안보라인 소통뿐 아니라 민간 차원의 대미 접촉 지원도 지속해 미국 신 정부와 접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포함한 2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로 구성된 ‘한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은 오는 19~20일 미국 워싱턴DC를 찾을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그간 유지돼 온 철강 쿼터 폐지에 따른 대미 수출 경쟁력 분석 등 대응 전략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미국 현지 공관, 싱크탱크 등을 통해 관련 기업의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 조직을 확대하기로 했다. 최 권한대행은 “앞으로 있을 수 있는 미 행정부의 추가적 조치에 대해서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