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2024년도 일자리 3만 3367개보다 6085개(15.8%) 증가한 4만 4452개의 일자리를 목표로 하는 ‘2025년 창원시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주로 늘어나는 일자리 정책 수혜 분야는 청년 일자리와 노인 일자리 분야인데, 역외 청년 유출을 방지하고 갈수록 노령화되는 인구구조에 대응하고자 고용 안정망 강화 등 지역 경기침체 대응을 중점으로 일자리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는 전년 대비 126억 원의 재원을 추가 투입해 역대 최고 규모인 1778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우선 숨은 공공일자리 발굴에 있어서는 공공근로사업과 지역공동체 일자리, 자활근로 사업을 통해 2190개의 일자리를 확대 추진한다. 특히 공공근로 사업 경우 전년 대비 상반기에 200명을 더 증가시킨 1400개의 일자리 확대를 통해 서민생활 안정과 지역 경기침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시는 여성 고용을 확대하기 위해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지원과 맞벌이 가정을 위한 아이돌봄 지원사업을 추진해 5850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또 장애인 구직을 장려하기 위해 직업재활시설과 일자리 사업장을 운영해 103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자립 가능한 기반을 마련한다.
고용 인력 분야에 있어서는 생산인구 감소에 따라 청년부터 노인까지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대폭 늘려 저출생·노령화에 대응할 계획이다.
청년 대상 일자리는 지난해보다 68%, 1397개 증가한 3411개를 발굴해 역대 최고 규모로 지원한다. 먼저 구직 청년 1020명을 대상으로 청년성장프로젝트 사업을 시행해 경남경영자총협회와 연계된 기업에 취업 매칭 및 역량 강화 교육을 시행한다.
중장년 계층에서는 은퇴자를 대상으로 창원시일자리센터와 취업은행을 운영해 은퇴·퇴직인력 2850명의 재취업을 지원한다. 노인일자리는 전년 1만 5112명 대비 1285명 확대한 1만 6397명을 목표로 사회참여 활성화와 생계 소득 안정을 지원한다.
주력산업인 조선업과 자동차부품업, 방위 산업 분야에 근로장려금, 고용환경개선지원금, 취업 컨설팅, 기술훈련 등을 통해 신규 일자리 455개를 창출할 예정이다.
첨단산업에 있어서는 의료·바이오, IT와 같은 신산업 연계 청년일자리 창출 사업과 항공산업 이중구조 개선지원 사업을 통해 390개 일자리를 창출해 미래 먹거리 산업에 대비한 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특히 내수경기 침체와 인력난 해소를 극복하기 위해 소상공인 컨설팅 사업과 농촌인력중개센터 운영을 통해 2671개의 자영업 일자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경기침체 장기화 우려에 대응해 공공일자리 창출과 내수소비 활성화, 기업경쟁력 강화, 산업 인프라 투자 같은 세부사업을 통해 지역 고용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시정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