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한 30대 남성이 14년 동안 뇌종양을 4번 겪은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9일(현지시각) 뉴욕 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의 거주하는 30대 남성 댄 호록스는 지난 2011년 뇌종양을 진단받았다. 수술은 성공적이었고 이후 꾸준히 정기 검진을 받아왔다.
그러던 2014년 뇌종양이 다시 발견돼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했다. 2018년에 세 번째, 지난해 10월에 네 번째 뇌종양 진단을 받았다.
호록스는 지난 14년 동안 4번의 뇌수술과 1번의 척수 수술, 방사선 치료를 받았고 6개월마다 정기 검진을 받았다.
그는 처음으로 뇌종양을 진단받던 때를 회상하며 “당시 극심한 두통과 어지러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그는 첫 수술을 받은 뒤 걷고, 말하고, 사고하는 방법을 다시 배워야 했다. 수술 부작용으로 균형을 잡기 어렵고 왼쪽 청력에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호록스는 3번째 수술 뒤에는 새로운 증상이 나타났다고 했다. 그는 “감정을 처리하는 뇌의 전두엽에 생겼다고 들었다”며 “그래서인지 특이하게도 전에는 싫어한 올리브가 먹고 싶어졌고 아침부터 시금치와 토마토가 당기곤 했다”고 말했다. 이어 "세 번째 종양 수술을 받은 후 감정 표현이 더 쉬워졌다"며 "공감 능력이 더 좋아졌고 쉽게 화를 낸다"고 했다.
지난해 11월에는 4번째 뇌종양 제거 수술을 받았고 12월에는 척추 수술을 받았다. 종양은 뇌척수액이 척추를 통해 흐르는 경로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하며, 암은 척추나 뇌의 어느 곳에서나 재발할 수 있다.
호록스는 "암이 다시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병원에서 뇌와 척추에 대한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다"며 "회복하는데 최대 6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영국에서 받을 수 있는 치료를 모두 받았고 이후 미국 텍사스주에서 새로운 치료를 시도할 계획이다.
뇌종양은 두개골 안에 생기는 모든 종양을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이다. 특히 아침에 두통이 심하고 구토가 동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종양의 위치에 따라 발작, 운동 마비, 언어 장애 등을 겪는다. 뇌종양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전두엽에 종양이 생기면 감정이나 욕구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때 문제가 생긴다. 호록스가 평소 싫어하던 올리브를 먹고 싶거나 감정적인 모습을 보인 것도 이 때문이다.
뇌종양은 여러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가장 큰 부작용은 뇌부종이다. 종양을 제거한 후 혈관-뇌장벽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뇌 혈류가 급격하게 변해서 나타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언어 장애나 구토를 동반한 두통 등이 있다면 뇌종양의 위험 신호일 수 있어 신속히 검사받을 것을 권고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