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비롯해 교역국에 대한 관세를 추가로 발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현대·기아차와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세계 각 국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하고 실행 계획을 밝혔다. CNBC는 이번 발표를 두고 북미 지역 외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국가로 한국과 일본을 지목했다.
CNBC가 인용한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 중 16.8%가 한국과 일본에서 생산됐다. 특히 한국산은 8.6%로 사상 최대였으며 일본산 차량은 8.2%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간 일본산 자동차의 미국 수출은 감소한 반면 한국산 자동차의 수출 및 판매량은 2019년 약 84만 5000대에서 지난해 137만 대 이상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현대·기아차와 GM은 한국에서 미국으로 관세 없이 자동차를 수출하고 있다. 도요타, 혼다 등 일본산 자동차는 2.5%의 관세를 부담 중이다. CNBC는 "한국과 일본은 멕시코를 제외하면 미국에 가장 많은 차량을 수출하는 국가"라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가 부과될 전망인 만큼 (한국과 일본에도) 잠재적인 위험이 많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 첫 임기 중 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재협상했지만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0%의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CNBC는 "이 협정은 미국산 자동차의 한국 수출을 늘리기 위해 체결됐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에서 한국으로의 자동차 수출은 약 16% 감소했다"고 전했다.
미국 내 다른 완성차 업체들은 이같은 점을 들어 현대차를 공격하고 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일본과 한국에서 수십만 대의 자동차가 매년 수입되고 있는데도 이에 대한 추가 관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캐나다와 멕시코 등 특정 국가에만 집중될 경우 수입 경쟁업체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