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식 이후 1년 가까이 착공이 미뤄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의 민간투자 구간 노선이 이르면 올 3월에 첫 삽을 뜰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투자자(CI)와 금융투자자(FI)가 사업 추진의 발목을 잡았던 금융 조건에 대해 합의를 도출했기 때문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GTX-B 민자 구간 사업 시행을 맡은 대우건설 컨소시엄 관계사 40여 곳은 최근 사업비 조달과 관련한 핵심 금융 조건에 합의하고 각 사가 내부 심의를 진행 중이다.
협상 막판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발생하는 비용 중 정부 지원 제외분을 누가 부담할지를 두고 협상을 벌인 끝에 CI가 끌어안기로 하면서 합의의 물꼬가 트인 것으로 알려졌다. 각 사의 심의와 세부 내용 정리가 마무리되면 금융 약정과 시공사 간 도급계약을 차례로 체결한 후 착공하게 된다.
GTX-B는 인천 송도부터 경기 남양주까지 수도권을 동서로 연결하는 총길이 82.8㎞의 고속철도다. 이 중 62.85㎞를 민자, 19.95㎞를 재정 방식으로 건설하게 된다. 민자 구간 사업비만 4조 2894억 원(2020년 불변가 기준)에 달한다. CI로는 대우건설·포스코이앤씨·현대건설 등이, FI로는 신한은행·맥쿼리인프라 등이 참여하고 있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지난해 3월 착공식까지 개최했지만 3조 400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내용에 대한 CI와 FI 간 이견이 팽팽했다. 재정 구간은 지난해 공사를 시작했으나 민자 구간의 착공이 미뤄지면서 사업을 둘러싼 우려도 커졌다.
대우건설 컨소시엄과 국토교통부는 쟁점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 만큼 남은 절차를 거쳐 이르면 3월께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공사 준비는 이미 끝낸 상태”라며 “절차를 마무리하는 대로 공사를 빠르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