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본관 전력을 차단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병도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소속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들은 1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 단전 시도 적발로 국회 기능 마비 작전의 실체가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024년 12월 4일 새벽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이 국회 본관 일부 전력을 차단했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확인했다”며 “그간 계엄 문건과 일부 증언으로만 언급됐던 단전 조치가 비상계엄 당시 실제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된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내란 국조특위는 당시 폐쇄회로(CC)TV 영상을 공개하며 시간대별 상황을 설명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12월 4일 새벽 0시 32분께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을 포함한 계엄군 16명이 국회 본관 2층 창문을 깨고 내부로 진입했지만 보좌진들의 저항에 막히게 되자 이중 7명은 0시 54분께 4층으로 향했다. 이들은 1시1분에 승강기를 타고 지하 1층으로 내려갔다. 지하에서 국회 본관과 의원회관이 연결된 통로의 문을 소방호스로 묶어 통제하려던 계엄군은 1시 6분 26초에 지하 1층의 분전함을 열어 약 33초 후 일반조명 차단기를 내렸다. 또 3초 후 비상조명 차단기까지 내려 지하 1층의 전력을 차단했다. 본관 지하 1층의 단전 조치는 약 5분 48초간 지속됐다고 민주당은 설명했다.
민주당 내란 국조특위원들은 “만약 계엄군이 지하가 아닌 본관 전체의 전기를 끊었거나 그 조치가 조금 일찍 이뤄졌다면 국회는 어둠 속에서 혼란에 빠져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에게 묻겠다. 이래도 계엄군 투입이 ‘질서 유지 목적’이냐”며 “계엄군이 국회를 단전시킨 배경에는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던 윤석열의 지시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사기관을 향해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이 단전·단수를 시도한 기관이 어디인지, 누구에게 지시했는지, 군·경·소방에 구체적 지시가 하달됐는지, 실제 단전 시도가 있었는지 명명백백하게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