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폭격이 속도를 내며 전 세계를 강타하는 가운데 각국이 무역 장벽 쌓기에 나섰다. 트럼프의 관세 부과 쓰나미 파장이 일파만파 번져나가면서 ‘트럼프발(發) 나비 효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폭격과 중국의 보복관세 맞대응 등 주요 2개국(G2)의 무역 전쟁이 가열되고 있다. 미국이 우방국인 멕시코·캐나다의 제품에 대해서도 25%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자 국제 통상 질서에서 피아(彼我) 구분이 사라졌다. 한국은 중국산 저가 후판에 대해 최고 38%의 반덤핑 관세를 물릴 예정이며 유럽연합(EU)도 중국 철강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돌입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동맹국에 대해서도 예외를 두지 않고 철강·알루미늄, 자동차·반도체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국제 통상 질서가 재편되는 가운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다음 주 중 트럼프와 정상회담을 갖고 경제·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미 캐나다·멕시코·일본·인도·호주 정상 등은 트럼프와 만났다. 하지만 우리 정부와 정치권의 통상 전략은 미흡하기 짝이 없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트럼프와 전화 통화도 하지 못하고 있다. 범정부 차원에서 급변하는 국제 질서에 맞는 통상 전략도 마련하지 못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이끄는 경제사절단이 19~20일 미국을 방문해 조선·에너지·원자력·반도체 분야 등에서 한미 산업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민간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제는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를 세워 국익을 지킬 수 있도록 시나리오별 통상·산업 전략을 정교하게 새로 짜야 한다. 정부와 민간의 해외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우리와 상대국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주요 무역국을 상대로 설득하고 협상해야 할 것이다. 신통상 전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국력을 결집하고 우리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또 중국·미국에 과도하게 편중된 수출 시장도 동남아·인도·중동·유럽·중남미 등으로 다변화하고 수출 품목도 다양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기업뿐 아니라 여야 정치권이 원팀이 돼서 경제 살리기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