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기반 AI 챗봇 전문기업 메이크봇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주관 '2025년 인공지능(AI)바우처 지원사업'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주관 '2025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에 잇달아 공급기업으로 선정되면서, 최신의 AI 기술 경험을 희망하는 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통해 비용 부담 없이 국내 최고 품질의 AI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메이크봇은 카카오, 네이버 등을 기반으로 한 AI 챗봇 시장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 및 이지 봇빌더 솔루션 등에 대한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발빠르게 점유율을 높여왔으며, 최근에는 데이터바우처와 AI 바우처 공급기업 및 초거대 AI 플랫폼 기업 등에 꾸준히 선정되면서, 산업 현장에서 축적해온 AI 챗봇 서비스 노하우를 각 기업 현장에 신속히 이전시켜왔다.
특히, ChatGPT 등 LLM 기술이 대중에 선보이게 된 2023년 이후로는 그간 AI 챗봇 기업으로서 축적한 인사이트와 자체 개발한 RAG 솔루션, 그리고 관련한 특허 기술 등을 바탕으로 주요 기업과 공공분야에서의 LLM 기술 활용에 앞장서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안을 중시하는 금융업종을 중심으로 sLLM(고객에 최적화된 소형언어모델) 솔루션 공급에 발빠르게 나서는 등, LLM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메이크봇 김지웅 대표는 "이제 AI 챗봇은 단순한 응답 도구가 아닌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었다"며, "이번 바우처 사업을 통해 더 많은 기업들이 검증된 AI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메이크봇은 바우처 사업 참여 기업을 위해 AI 챗봇 구축 컨설팅, 업종별 특화 데이터, 운영자 교육 프로그램 등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특별 지원책을 마련했다. 여기에 1년간의 무상 유지보수와 성능 최적화, 실시간 기술 지원 등 포괄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들의 성공적인 AI 챗봇 도입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특히, 메이크봇은 종합병원 등 헬스케어 분야, 기업 내 업무 효율화, 커머스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바우처 및 AI바우처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혜 기업들이 핵심 역량을 재고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견인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2025년 데이터바우처와 AI바우처를 통해 AI 챗봇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은 메이크봇 홈페이지 또는 전화를 통해 상담 받을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