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로션 등 기초화장을 넘어 아이라이너·아이섀도 등 눈화장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메이크업 픽서 등 색조화장을 하는 중고생이 26%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색조화장을 시작하는 연령대가 낮아짐에 따라 화장품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사항 등을 안내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는 25일 ‘어린이·청소년 화장품 사용 현황’ 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작년 5~11월 초등학생 9274명, 중고생 4678명 등 총 1만3952명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 종류, 시작 시기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색조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11%인 1025명이었으며 중고생은 26%인 1196명이었다.
이들 화장품을 쓰는 응답자들은 색조화장을 시작한 시점으로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사이를 가장 많이 꼽았다. 초등학생 32%(329명)는 초등학교 5학년에, 중·고등학생 39%(470명)는 초등학교 6학년에 시작한다고 응답했다. 화장품 사용정보를 얻는 경로는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가장 많았고 유튜브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나란히 뒤를 이었다.
식약처는 특히 부모들이 자녀에게 올바른 화장품 사용법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소년기에는 피지 배출이 어려워져 여드름이 생기 쉽고 화장품 성분에 의해 모공도 막히기 쉬운 탓에 되도록이면 색조 화장을 피하는 것이 좋다. 화장품을 사용했다면 세안을 꼼꼼히 해야 한다. 또한 친구들과 정보는 물론 제품을 공유하는 일도 많은데 오염 등 우려가 있는 만큼 가급적 공유하지 않아야 한다.
색조 화장품, 눈화장용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라벨에 표시된 성분을 참고하거나 샘플을 귀밑 등 피부에 발라보며 테스트하는 것도 좋다. 화장품의 색상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색소나 금속 등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화장품 사용 후 알레르기나 피부발진, 가려움증, 통증, 접촉성 피부염 등 이상 반응이 발생했다면 사용을 중지하고 피부과 등 전문가의 진료나 상담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에서 해외직구한 화장품을 쓰는 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들 제품에서 납, 니켈 등 중금속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