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가 올해 인천 항만기능 재편으로 동아시아 항만 허브 지위를 확고히 한다는 전략을 내놨다. 특히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글로벌 무역 분쟁 위험 요소를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25일 IPA에 따르면 인천항 내항 재개발사업은 항만기능을 재편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를 통해 해양문화 도심공간을 조성하고 원도심과 연계한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것이다. 사업시행자는 IPA, 인천시, 인천도시공사 등 3개 기관이다. 이들 기관은 2028년까지 중구 북성동과 내항 1·8 부두의 42만9000㎡ 면적에 총 5906억 원을 투입해 해양 문화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2007년부터 항만 기능이 약화된 인천내항 1·8부두를 친수공간으로 조성해 바다를 시민 품으로 돌려주기 위해 추진됐다.
IPA는 인천항만 기능을 재편하는 이 사업으로 일자리(약 2600명) 창출은 물론 원도심 활성화와 함께 인천항이 해양레저관광도시로서 전초기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PA는 항만 기능 강화를 통해 글로벌 항만 경쟁력도 확보할 계획이다. 인천신항의 경우 1-1단계 터미널만 자동화 작업이 가능해 추가 경쟁력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IPA는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부두를 완전 자동화 할 계획이다. 작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크레인으로 하역하고 야드크레인으로 장치해 이송장비에 탑재하는 전 과정이 자동 및 원격운전으로 가능해진다. 2026년 착공 후 2027년 하반기에 준공할 계획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중고차를 수출하고 있는 인천항의 지위 유지를 위해서도 공을 들이고 있다. 자금조달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스마트오토밸리사업을 정상화 시키기 위해 자금조달 이행 상황 등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은 특히 영세한 수출업체들이 안정적인 영업을 할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더해 IPA는 트럼프2기 출범과 함께 우려되는 대외 경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대응책을 마련한다. 인천항의 경우 트럼프 2기의 보호무역과 관세인상으로 인해 중간재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항 컨테이너 수출 물동량 82만 TEU 중 약 45%인 37만 TEU가 중간재인 탓이다. 이 중 절반가량이 중국으로 수출되고 최종 가공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IPA는 가장 우려되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으로 발생하는 위험 요소에 대응할 대책본부인 ‘인천항 수출입 활성화 태스크포스’를 부사장 중심으로 운영한다. 이 기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에 따라 해운, 항만,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기능을 한다. 중국과 미국을 대체할 수 있는 다변화된 물동량을 창출해 동북아 허브 항만으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IPA 관계자는 “미중무역 분쟁과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지난해 역대 최대 물동량을 기록했다”며 “올해는 중국과 미국의 무역분쟁으로 우려되는 물동량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해 절대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