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경력을 보유한 신입사원을 모집하는 채용 공고를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 21일 경북 포항과 전남 광양에서 근무할 '경력 기반 생산기술직 신입사원'을 다음달 5일까지 모집한다고 공고했다.
공고에 따르면 지원자는 모집 분야는 운전과 정비로, 지원자는 금속·화공·기계·전기·전자 관련 전공자이거나 관련 자격증 소지자여야 한다. 또한 5년 미만의 제조업 생산직 근무경력 보유자 등 자격을 갖춰야 한다. 이번 채용 전형은 별도의 인턴 체험 과정 없이 바로 입사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다만 신입사원 전형이기 때문에 이들은 입사하더라도 신규 연차에서 시작한다. 경력직을 뽑으면서도 경력은 인정하지 않겠다는 셈이다.
이를 두고 경력이 있음에도 적은 임금을 줄 수 있는 '중고 신입'을 모집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기존에 신입 사원들이 최소 6주간 체험형 인턴 기간을 거쳐야 해 이직 시 일정 조정 등 애로사항을 감안해 도입했다"며 "기존 연차 포기하고라도 다른 기업에 취업하려는 사람들에 대해 인턴 과정을 스킵해 주는 제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누리꾼들은 "대놓고 임금을 줄이겠다는 것 아니냐" "신입사원을 뽑는다, 하지만 경력이 있어야 하지만 타사 경력은 인정되지 않는다" "경력직 같은 신입을 뽑으면서 왜 봉급은 신입 봉급으로" 등의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한편 포스코 생산직은 사무직에 못지않은 연봉과 복지는 물론 워라밸까지 높아 취업 준비생들 사이에서 '킹산직'으로 불리고 있다 성과급과 수당 등을 포함한 초봉이 약 7400만원에 달하며, 기숙사가 5년간 무료로 제공된다. 또한 사무직과 동일하게 임원 선발 기회가 주어지며 정년 퇴직 후에도 최대 2년간 재고용될 수 있는 등을 이유로 취준생들 사이 선호도가 높은 기업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