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미국 에너지부의 대한민국 민감 국가 및 기타 국가 지정을 두고 각각 다른 견해를 보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야당이 국익과 미래가 걸린 외교까지 정쟁의 도구로 삼고 있다"라면서 "미국의 민감 국가 지정을 두고 정부와 여당을 공격하고 있는데 참으로 적반하장"이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대통령이 탄핵된 상황에서 권한대행까지 탄핵하고, 친중·반미 노선의 이재명과 민주당이 국정을 장악한 것이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북한은 미국 안보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테러지원국이라서 위험 국가로 지정돼 있다"라면면서 "이재명 대표는 그런 북한에 돈을 건넨 혐의가 재판에서 입증됐다"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입만 열면 반미정서를 드러내고 한미일 군사협력을 비난하는 민주노총과 함께 거리를 나서고 있는 인물이 유력 대권후보라고 하니 민감 국가로 지정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인공지능, 원자력 등 한미협력과 공조가 제한될 것이 명백하다"라면서 "함부로 동맹국가에 대한 통보나 언질도 없이 계엄을 선포한 상황이 대한민국의 국가체제에 대한 불신을 키웠고 결국 민감 국가 지정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민감 국가 지정이 지난 1월에 이뤄졌는데 정부는 까맣게 모르고 있었고, 이를 언론에서 확인하라고 했더니 미정이라고, 모른다고 말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게 과연 정부입니까?"라고 물으며 "완벽한 외교 실패이자 참사이고, 정부 실패다"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러한 위기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대한민국을 정상 국가로 신속하게 되돌려 놓는 것"이라면서 "늦었지만 지정 경위를 파악하고 신속하게 지정 해지를 이끌어낼 것"을 촉구했다. 오승현 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