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플래닛이 27일 발표한 '2024년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및 전·월세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연립·다세대주택의 월세 거래 비중이 처음으로 전체 전월세 거래의 절반을 넘어선 54.4%를 기록했다.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총 13만7,315건으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다.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전세와 월세의 희비가 크게 엇갈렸다. 전세 거래는 6만2,657건으로 전년보다 12.4% 급감한 반면, 월세 거래는 7만4,658건으로 12.4% 급증했다.
이로써 전세 거래는 3년 연속 감소세를, 월세 거래는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게 됐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준전세(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분 초과) 거래가 2만8,309건으로 전년 대비 45.2%나 폭증했다는 점이다.
전체 월세 거래 중 준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분)가 53.4%로 가장 많았고, 준전세가 37.9%, 순수 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분 미만)가 8.7%를 차지했다.
자치구별로는 송파구가 1만1,142건으로 월세 거래량 1위를 차지했고, 강서(5,307건), 강남(4,392건), 강동(4,320건)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성동구는 유일하게 월세 거래가 7.9% 감소했다.
전세 거래는 성북구(0.8% 증가)를 제외한 24개 자치구에서 모두 감소했다. 이는 전세 사기 피해에 대한 우려와 보증금 회수 불안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인 전세가율은 지난해 12월 기준 평균 65.4%로 나타났다. 강서구(74.3%), 영등포구(73.7%), 송파구(73.0%)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세가율을 보였다. 반면 용산구(46.1%), 중구(57.0%), 노원구(59.8%)는 60% 미만으로 조사됐다.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전월세전환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평균 5.6%로, 이는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비아파트 시장의 월세 선호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초기 보증금 부담과 전세 사기 우려, 보증금 회수에 대한 불안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시장은 활기를 되찾았다. 거래량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2만6,214건, 거래금액은 22.8% 늘어난 9조4,711억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됐다.
25개 자치구 중 영등포(-17.8%)와 구로(-8.0%)를 제외한 23개 지역에서 거래량이 증가했으며, 광진구가 53.7%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매매 시장 활성화 지표인 거래 회전율도 광진구(3.50%)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