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전체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및 재지정 여파에 따른 영향으로 해석된다.
3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민과의 토론회에서 강남권 토허구역 해제 가능성을 언급한 1월 14일 이후 이달 30일까지 약 두 달 반 동안 거래 신고된 아파트의 28.8%가 15억 원 초과였다. 이는 직전 두 달 반(지난해 11월 1일~올해 1월 13일)동안 거래에서 15억 원 초과 비중이 24.3%였던 것에 비해 4.5%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특히 15억~30억 원 구간 거래는 토허구역 해제 언급 직전 19.0%에서 언급 이후 23.5%로 증가 폭이 컸다. 9억~15억 원 이하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27.4%에서 32.9%로 5.5%포인트 증가했다. 토허구역 해제 호재로 강남권에서 시작된 거래 증가가 마포·용산·성동·동작·영등포구 등 주변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전반적으로 거래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의 토허구역 지정이 풀린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30일까지 한 달 반 동안 15억 원 초과 구간 아파트 거래 비중은 29.7%에 달했다.
조사 기간 100억 원 이상 아파트 거래 건수도 토허구역 해제 언급 이전 3건에서 이후 7건으로 2배 이상 늘었다.
반면 9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토허구역 해제 언급 전 48.3%에서 언급 후에는 38.4%로 10%포인트 가량 급감했다. 이 중 6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토허제 해제 언급 전후로 24.1%에서 16.3%로, 6억 원 초과~9억 원 이하 비중은 24.2%에서 22.0%로 각각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