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4일로 확정되면서 조기 대선 현실화를 염두에 둬야 하는 여야 대권 주자들의 시선도 일제히 헌법재판소를 향했다. 조심스럽게 분위기 파악에 나선 여권 주자들과는 달리 야권 잠룡들은 윤 대통령 파면을 확신하면서 일찌감치 여론전에 돌입한 모습이다.
속내가 복잡한 곳은 여권이다.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지지층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지만 조기 대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선거 준비를 손 놓고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찬탄(탄핵 찬성)’파 주자들은 일제히 헌재 판결에 승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일 페이스북을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은 결론이 어떻게 나더라도 혼란 없이 국정을 안정적으로 수습하는 일”이라며 “선고가 내려질 때까지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은 그 결과에 모두가 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도 “여야 정치권은 물론 윤 대통령 본인 역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하고 승복해야 한다”며 “여야와 정치권은 헌재의 결정을 하나의 출발점으로 삼아 국민 통합과 국정 안정에 최대한 힘을 모아야 한다”는 글을 남겼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또한 “자신이 원하는 결정이 나오지 않더라도 선고 이후에라도 승복 선언을 해야 한다”며 국민 통합을 강조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탄핵 심판 선고일 지정 이후 공개 메시지를 내지 않았다. 다만 앞서 “헌재 선고 승복은 선택이 아니라 당연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친한(친한동훈)계 관계자는 “(한 전 대표는) 헌법과 헌법 정신에 맞는 결정을 기대한다는 기존 입장과 동일하다”고 전했다.
대표적인 ‘반탄(탄핵 반대)’파 주자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헌재가) 공정하게 잘 판결하기를 기대하고 각하 또는 기각되기 바란다”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았지만 그간 윤 대통령 직무 복귀를 주장해왔다.
야권 잠룡 중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움직임에 가장 많은 관심이 쏠린다. 이날 대장동 재판에 출석한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 ‘선고 지연 헌법재판소에 대한 즉각 파면 촉구 전국 시민 서명’ 링크를 첨부하면서 파면 여론전에 힘을 실었다. 이 대표는 “지난해 12월 3일 계엄군의 군홧발을 온 몸으로 막아내 주신 것도, 탄핵 열차를 국회로 헌재로 향하게 해주신 것도 모두 위대한 우리 국민”이라며 “다시 한 번 주권자의 힘으로, 헌정 질서를 회복하고 대한민국의 저력을 전 세계에 증명해내자”고 독려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각각 ‘윤석열을 파면한다’라는 글을 올리며 헌재의 탄핵 인용 결정을 기대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탄핵 인용을 확신하면서 “(윤 대통령이) 자신이 당선을 시켜 사면 복권을 받겠다는 그런 행복 회로를 꿈꿀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