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3일 시청 회의실에서 ‘제2차 인구변화대응 전담조직(TF) 회의’를 열고 초고령사회와 저출생 문제 등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논의한다. 행정부시장이 주재하며 관련 실·국장과 부산도시공사, 부산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해 9월 수립된 ‘부산 인구변화 대응전략’에 따라 신중년 일자리 지원사업 확대, 일·가정양립 활성화 방안, 인구변화 대응 규제혁신 추진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특히 신중년 일자리 사업은 지난해 490명 규모에서 올해 2500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퇴직자의 경력을 활용한 취업 지원과 유연한 근무 형태를 발굴해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고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일자리 창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부문에서 육아 친화적 직장 문화를 확산하고 가족친화인증기업 및 워라밸 우수기업을 발굴하는 한편 경력단절 여성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일·가정양립 인식 확대를 위한 홍보 활동도 병행한다.
회의에서는 인구 유입과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규제를 발굴·개선하고 인구변화 대응 전략의 추진 현황을 점검한다. 이를 위해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생활인구 확대와 정주 여건 개선에 필요한 규제를 개선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10월 ‘인구변화대응 전담조직(TF)’을 구성해 모든 부서가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지난해 첫 회의에서는 하하(HAHA) 365 프로젝트, 장노년 일자리 활성화 대책, 행복주거 정책, 빈집 정비 혁신 대책 등을 발표하며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구정책을 마련하겠다”며 “인구 감소 속도를 완화하고 변화하는 인구 구조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