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올해도 시민 생활권 내 녹지를 확대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원형 도시숲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미세먼지 저감, 폭염 완화, 열섬현상 해소 등 도시 환경 개선과 시민 건강 보호를 목표로 다양한 형태의 도시숲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생활권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60억 원을 들여 ‘기후대응 도시숲’ 3곳(총 6ha)을 조성한다. 해운대 수목원(4ha)에는 탄소저장숲을, 신평장림산업단지와 일광유원지(각 1ha)에는 미세먼지 저감숲을 설치한다. 이 도시숲은 대기오염물질 제거와 도심 공기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45억 원을 투입해 대연수목전시원 평화기원의 숲(3.8ha)과 정관신도시 정관중앙로 일원(1ha)에 각각 ‘도시와 연결숲’을 조성한다. 이 숲은 외곽 산림에서 생성된 맑고 시원한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대기 순환을 촉진하고 오염물질과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학생들의 보행 안전과 미세먼지 보호를 위한 ‘자녀안심 그린숲’도 들어선다. 해운대구 좌동 신곡초등학교 주변(0.04ha)에는 자연 장애물 역할을 하는 가로숲을 설치해 어린이들의 안전한 통학로를 제공하고 자연과 교감할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가야대로 BRT 정류소(주례역~동의대역 12곳)에는 작은 정원과 산책로를 마련해 승객들이 햇볕과 지열에 노출되지 않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서면교차로에는 생태 친화적인 자연주의 정원을 조성해 부산의 대표 교차로 이미지를 개선하며 전국체전에 대비해 김해공항과 부산역 등 주요 관문에도 화려한 꽃 정원을 설치할 계획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도시숲은 극초미세먼지를 지면으로 침강시키고 호흡기 질환 진료 건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는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도심 녹지를 확대해 시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 개선에 앞장설 계획이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정원과 꽃이 어우러진 도시숲을 만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