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혼란과는 별개로 그동안 쌓아온 한국의 힘과 역량이 있기에 한국은 앞으로 계속 전진할 것 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둔 3일 라몬 파체코 파르도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국제관계학 교수는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선진 경제와 강건한 민주주의, 기술·혁신 강국이자 전 세계의 문화 트렌드를 이끄는 나라”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파르도 교수는 벨기에 브뤼셀자유대학에서 ‘한국 석좌(Korea Chair)’ 교수를 맡고 있는 대표적인 유럽 내 한국 전문가다. 국내에서는 외부인의 시각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저술한 책 ‘새우에서 고래로(2024)’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파르도 교수는 “오늘날 한국은 과거보다 훨씬 성숙해졌고 다양한 집단이 각자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공간이 열려 있다”며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을 계기로 광장의 갈등이 심화됐으나 이 역시 봉합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대부분의 한국 국민들은 정치 제도, 독립적인 사법 체계, 경제모델, 소수자 권리 존중 등 기본적인 가치에 공감하고 있다”면서 “이런 측면에서 한국 사회는 이미 강한 사회적 응집력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날의 한국 사회가 민주주의국가로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던 1980~1990년대보다 더 분열됐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오늘날 한국 국민들은 윤 대통령 탄핵 같은 사안에 자유롭게 자신의 입장을 표현할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고 부연했다.
오히려 파르도 교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하나로 통일하려는 움직임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시민사회가 과거처럼 특정 정책이나 입장에 대해 ‘화해’ 또는 ‘합의’하는 시대는 지났다”면서 “다양성은 한국처럼 역동적이고 활기찬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자신의 의견을 방어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일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결코 용납돼서는 안 된다”고 단서를 붙였다.
윤 대통령의 탄핵을 두고 대립 중인 정치권을 향해서는 이제 정책 경쟁 등 건설적인 대화를 할 때라고 조언했다. 파르도 교수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경제정책, 사회 이슈의 큰 틀에서 의견이 일치하는 경우가 꽤 많다”면서 “여야는 정쟁에 매몰되기보다는 한국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토론에 집중해야 하고, 이렇게 활발한 의회정치는 오히려 한국 민주주의에 이롭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