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에 맞서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맞불 관세로 보복 대응에 나섰습니다.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4일 “미국의 34% 관세 부과는 중국의 합법적인 권리를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일방적인 괴롭힘 행위”라며 “10일 낮 12시 1분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무원은 “이 기준 시간 이전에 선적된 화물의 경우 5월 13일 오후 자정 이전에 수입되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은 또 미국 기업에 대한 제재와 광물 자원 등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고 반덤핑 조사,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에 착수하며 본격적인 맞대응에 돌입했습니다. 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하고 다른 나라들의 보복 조치 예고가 잇따르자 글로벌 금융시장은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는데요. 뉴욕 증시는 3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파트너들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 하루 만에 시가총액이 3조 1000억 달러(약 4500조 원) 급감했습니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 평균지수는 3.98% 추락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4.84%, 5.97% 급락했습니다.
세계 최대 상업은행인 미국 JP모건체이스는 “올해 세계경제가 침체될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며 “트럼프 관세는 1968년 이후 가계와 기업에 대한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무차별 관세 '중국의 재부상’ 부를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폭탄’을 터뜨린 가운데 중국이 반사이익을 거둘 것이라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분별한 관세정책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주도한 세계 경제 질서에 신뢰를 흔들어 중국이 많은 국가들과 새로운 무역 질서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줄 것이라는 진단에서입니다.
3일(현지 시간) 주요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 관세정책으로 중국이 세계 통상 무대에서 재부상할 가능성을 집중 조명하고 있습니다. 한동안 부동산 시장 붕괴,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저가 상품 덤핑 등 부정적인 이슈로 주요국과 마찰을 일으켰던 중국이 이번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을 계기로 주요국들과의 관계가 재설정될 수 있을지가 주목되는 것입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관세를 인상하려는 움직임은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면서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 동맹국을 포함해 아시아 주요 국가와 전반적인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짚었습니다.
인텔·TSMC ‘파운드리 동맹’ 목전… “삼성 고립 심화되나” 우려
인텔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와 파운드리 투자에 대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됩니다. 조인트벤처(JV)를 통해 TSMC가 인텔 파운드리 지분 일부를 확보하는 한편 인텔에 ‘기술 노하우’를 전수하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인텔·TSMC 동맹이 성사된다면 파운드리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성전자의 입지는 더욱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3일(현지 시간) 디인포메이션은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들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며 “인텔과 기타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의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 정도를 인수하는 방안”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대만 디지타임스는 TSMC 이사회가 인텔 파운드리 ‘인수’에 대해 부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100% 지분 인수가 아닌 일부 지분 투자 방식이라면 현실성 있는 방안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TSMC가 인텔에 대한 투자금을 최소화하려는 만큼 지분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어서인데요. 디인포메이션은 “합작 투자가 이뤄진다면 TSMC는 인텔에 반도체 제조 방법을 전수하고 인력도 교육하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