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합의로 18년 만에 국회를 통과한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찬반 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6일 나타났다. 세대 간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며 20·30대에서는 반대 의견이 60%를 넘길 정도로 거셌다.
서울경제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에 찬성과 반대는 각각 44%·43%로 팽팽했다. 세대별로는 뚜렷한 인식 차를 보였다. 18~29세 중 찬성은 27%에 그쳤고 반대는 그 2배를 뛰어넘는 61%를 기록했다. 30대에서도 찬성 32%, 반대 61%로 2배가량 차이가 났다. 40대에서는 찬성 40%, 반대 51%였다. 반면 50대와 60대에서는 찬성이 각각 53%·56%로 반대(37%·30%)보다 15%포인트 이상 높았다.
여야는 지난달 보험료율을 현행 월 소득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은 43%로 상향하는 내용을 담은 연금 개혁안을 통과시켰다. 청년층에서는 당장 내년부터 내야 할 보험료는 오르지만 미래에 연금을 받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도 “미래 세대 착취 야합”이라고 하는 등 3040 정치인들의 반발도 이어졌다.
‘이재명표 예산’으로 불리는 1인당 25만 원의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두고는 ‘지급해야 한다’ 37%, ‘지급해서는 안 된다’ 57%로 반대 여론이 우세했다. 정치 성향별로 찬반이 뚜렷했다. 보수 성향 응답자 중 19%는 찬성, 79%는 반대했다. 앞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25만 원을 뿌려서 차기 대통령을 꿈꾸고 있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직격한 바 있다. 중도 성향에서는 찬성 34%, 반대 59%였다. 진보 성향에서는 찬성 63%, 반대 31%로 찬성이 반대보다 2배가량 높았다.
본지·한국갤럽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유무선 전화번호를 활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9.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