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돕기 위한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부산시가 7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대상자를 모집한다. 청년재단과 함께 진행하는 이 사업은 부산사회서비스원이 수행기관으로 참여해 경계선지능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은 진단검사 지원과 자립 응원 사업으로 나뉜다. 진단검사 지원은 교육청 미지원 아동·청소년 25명과 청년(18세~39세) 40명이 대상이다. 검사 비용 부담을 덜어 경계선지능인을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간이검사를 통해 선별 후 진단·검사기관을 연계하고 실비를 지원한다.
경계선지능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자립 응원 사업은 소양교육, 직무훈련, 진로상담 등 자립교육을 3개월간 실시한다. 우수 참여자 20명에게는 2개월간 직장체험을 제공해 직장 생활 적응을 돕는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사회생활 향상과 경제활동 증진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경계선지능인의 자조모임도 지원해 이들이 서로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며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부모를 대상으로 올바른 이해와 양육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대상자는 부산사회서비스원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된다.
경계선지능인은 지적장애인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해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로, 일반적인 취업 지원 시스템에서 제외되거나 지원이 부족해 고립·은둔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시는 실태조사를 통해 이들의 요구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경계선지능인들이 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맞춤형 교육과 일 경험을 통해 이들의 자립을 돕고 더 나아가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