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월 13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후 다시 확대·재지정 되기 전까지 규제 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토허구역 해제 직전 대비 3.6배 이상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직방의 분석에 따르면, 토허구역 해제 발표 다음날인 2월 13일부터 재지정 전날인 3월 23일까지 39일간 동안 서울 전체 매매 거래량은 9665건으로 이는 해제발표 직전 같은기간 거래량(4559건) 대비 약 2.1배가량 많다.
규제 대상 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직전(99건)보다 3.6배 이상 많았다. 신고가 경신 거래도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이후 잠·삼·대·청(잠실동,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단지기준)의 신고가 거래는 84건으로 약 6.5배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전체 신고가 경신 케이스가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두드러진 수치다. 다만 아직 실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최종적인 거래량 집계는 유동적일 수 있다.
규제 해제 대상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39일 간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세부 단지로 리센츠가 38건, 잠실엘스가 34건, 트리지움이 30건으로 많았다. 뒤이어 삼성동이 86건, 대치동이 71건, 청담동이 61건 순으로 많았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가 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 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 11건 등 순으로 거래됐다.
규제 대상이 아니었던 지역에서는 △강남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76건 △강동구 652건 △송파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52건 △성동구 637건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강남구는 규제 대상 3개 동이 포함되어 있고 개포, 도곡, 역삼동 일대는 학군, 교통, 생활 인프라 등 주거 선호 요소를 고루 갖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신축과 구축을 가리지 않고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며, 최근에도 해당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동별로는 개포동 131건, 도곡동 122건, 역삼동 116건 등에서 거래가 많이 됐다. 개포동에서 개포래미안포레스트가 23건, 래미안블레스티지 21건, 도곡동은 도곡렉슬 25건 경남 13건이, 역삼동은 역삼래미안과 테헤란아이파크가 각각 17건, 13건씩 거래됐다.
해제 대상지역의 주 단위 기간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대상 지역의 거래량은 초기 급증한 후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해제 직후 1주일, 총 122건의 아파트가 거래되며 가장 많았다. 거래 제한이 해제되자 빠르게 움직인 수요자들이 즉각적으로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후 주차가 지날수록 66건, 57건, 47건, 26건으로 거래 건수는 다소 감소했다. 이는 초기 수요 집중으로 인한 호가 상승, 매물 회수 등 매도-매수자간의 격차 확대가 거래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유추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