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여파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치솟으면서 세계 각국 기업들의 사업 확장 움직임도 멈췄다. 시장 악화로 기업들의 자금 조달과 투자 여력이 줄어들며 경기 둔화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글로벌 주식시장 급락으로 기업들의 인수합병(M&A)과 기업공개(IPO) 등이 잇따라 무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티켓 거래 플랫폼 ‘스텁허브’는 다음 주 예정했던 IPO 계획을 연기했다. 투자자들이 설명회에 참여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거나 시장 혼란으로 투자에 집중하기 어렵다며 난색을 보였기 때문이다. 스텁허브는 부활절 이후까지 시장 상황을 지켜본 뒤 IPO 설명회를 재개할 계획이다.
올 초 규제 당국에 상장 서류를 제출하며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준비해온 스웨덴 핀테크 기업 ‘클라르나’도 같은 이유로 IPO를 무기한 연기했다. 목표로 했던 15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반영됐다. 또 다른 핀테크 기업 ‘차임’도 재무 정보 공개 제출을 미루며 IPO를 연기했다. 헬스케어 기업인 ‘힌지 헬스’는 이달 말 예정한 IPO를 앞두고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는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높은 만큼 투자 결정을 하기가 어려워졌다고 난색을 보이고 있다. 한 금융기관 관계자는 “금리가 조정될 가능성이 높고 기업가치 평가가 더 어려워진 만큼 어떤 거래도 마무리짓기가 매우 까다롭다”고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정책이 베일을 벗기 전부터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로 미국 내 M&A 거래가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국제 로펌 에버셰즈서덜랜드의 M&A 파트너인 앤서니 월시는 “관세 그 자체보다는 관세로 경영진이 느끼는 불확실성이 더 큰 문제”라고 짚었다. 투자를 철회한 영국 런던의 한 사모펀드 관계자도 “이번 주는 도저히 결정을 내릴 수 없다”며 “무역전쟁에 유럽이 어떻게 반응할지, 매크로 환경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 수 없다”고 전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주식 자본시장 부문을 총괄하는 필립 주스 골드만삭스 대표도 “대규모 IPO가 최근 들어 성사되지 않고 있다”며 “지난 수요일 밤 이후 IPO 시장의 분위기는 한층 더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IPO와 M&A 시장이 활기를 잃으면서 글로벌 기관투자가들은 올해 실현 수익이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사모펀드 지분 매각을 잇따라 검토 중이다. 글로벌 투자은행 후리한 로키의 사모자본 부문 책임자인 매슈 스웨인은 “최근 며칠 동안 유동성 문제로 문의한 유한책임출자자(LP)들의 수는 코로나19 초기 이후 최대”라며 “다들 IPO를 통해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는데 지금은 단지 자본금 요청(capital call)을 충당하려 현금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