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공천 개입, 여론조사 의혹을 밝히기 위해 ‘전 영부인’ 김건희 여사 측과 소환 조사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그간 경호 문제로 제약이 많았으나 이제는 ‘자연인’ 신분이라 조사가 수월하다는 것이 검찰 측 판단이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 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명 씨 관련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김 여사 측에 올 1월께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 측은 “정식으로 소환 일정을 조율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파면되면서 김 여사 조사도 한층 빨라질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영부인 신분에서는 검찰 조사가 사실상 매우 까다롭다. 검찰은 지난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디올 백 수수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서 당시 영부인인 김 여사 측과 수개월 이상 시점을 조율하고 영부인 경호를 담당하는 경호처와도 조사 방식과 장소를 계속 협의해야 했다.
지난해 7월 김 여사가 검찰청이 아닌 보안 청사에서 대면 조사를 받은 것도 현직 영부인으로는 처음 있는 일로, 조사 일정을 잡는 데만 1년 이상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도이치 수사팀이 끝까지 대면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김 여사 측과 경호처는 건강상·보안상의 이유로 미뤄 시점이 계속 밀렸다”며 “그러다 경호처 방문 조사로 타협점이 만들어져 가까스로 대면 조사가 이뤄질 수 있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는 지난 대선 당시 명 씨로부터 무상 여론조사를 받고, 2022년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 때 김영선 당시 국민의힘 창원의창 지역구 후보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당시 윤 전 대통령 부부는 명 씨가 실제로 소유했다고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로부터 3억 7520만 원 상당의 불법 여론조사를 81차례 무상으로 전달받았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후 명 씨의 부탁으로 김 전 의원 공천에 개입했다는 것이 의혹의 핵심이다. 검찰 안팎에 따르면 김 여사 조사가 끝나는 대로 불소추 특권이 사라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 조사도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