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 내 K-뷰티 인지도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기존 뷰티 플랫폼뿐만 아니라 온라인 패션 플랫폼들까지 뷰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2025년 뷰티 시장은 성분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어필리에이트 마케팅과 무가·유가 시딩을 결합한 전략이 부상하면서 데이터 기반 효과가 검증된 인플루언서 협업이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2025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무신사뷰티, 직잭 뷰티 등 온라인 패션 플랫폼들이 뷰티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여기에 다이소까지 '꼭 필요한 것 하나만 있으면 된다'는 'YONO' 트렌드에 맞춰 뷰티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존에 ‘올리브영 천하’로 불렸던 시장 구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피처링이 뷰티 플랫폼 키워드 언급 콘텐츠와 뷰티 플랫폼 브랜드 태그가 포함된 인스타그램·유튜브 광고 콘텐츠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올리브영이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온라인 패션 플랫폼들도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적극적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신사도 지그재그도, 뷰티 시장 참전
패션 플랫폼들의 뷰티 사업 확대는 단순한 판매 채널 확보를 넘어 뷰티 브랜드와의 협업, 자체 브랜드 론칭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무신사뷰티는 2021년 말 론칭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최근 새로운 자체 브랜드까지 출시하며 카테고리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지그재그 또한 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하며 Z세대 여성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존에는 올리브영의 세일 기간에 맞춰 콘텐츠가 집중됐다면, 이제는 무신사뷰티와 직잭 뷰티의 페스타(세일) 행사 기간도 주요 마케팅 타이밍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에서 뷰티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플랫폼별 마케팅 제품군에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무신사뷰티와 지그재그는 립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유도하고 있으며, 올리브영과 다이소는 스킨케어 제품을 주력으로 삼고 있다. 특히 다이소는 가성비 제품군을 앞세워 젊은 소비층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성분 중심의 인플루언서 마케팅…2025년 뷰티 트렌드 성분 ‘펩타이드’ 주목
2025년 뷰티 시장은 성분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단순한 마케팅 요소를 넘어 소비자들이 제품 성분과 효능을 중요한 구매 기준으로 고려하면서, 브랜드들도 이에 맞춰 제품 개발과 마케팅을 최적화하고 있다. 피처링이 약 8천 개의 뷰티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약 12.5%가 성분 정보를 강조하는 콘텐츠였으며, 이는 성분 중심 마케팅이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펩타이드는 안티에이징, 피부 장벽 강화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내세우며 차세대 핵심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다. 피처링이 분석한 뷰티 플랫폼 언급 데이터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언급된 성분은 ‘히알루론산(18.40%)’, ‘시카(18.30%)’, ‘어성초(14.36%)’ 순이었으며, 최근 2025년 뷰티 트렌드 성분으로 떠오른 ‘펩타이드(12.23%)’도 4위에 오르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떠오르는 글로벌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어필리에이트’ 전략
뷰티 업계의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도 진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마이크로·나노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무가 시딩 및 UGC(User Generated Content) 광고로 전환을 늘리고자 하는 전략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틱톡샵·아마존 등의 플랫폼 어필리에이트 마케팅과 무가·유가 시딩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제작하는 콘텐츠는 퀄리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효과와 완성도가 보장된 인플루언서를 콘텐츠 제작자로 활용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전략이 급부상하고 있다. 브랜드 입장에서는 비용 대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인플루언서 역시 수익 다변화가 가능해 양측 모두에게 유리한 구조로 평가된다.
이처럼 K-뷰티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국내외 뷰티 시장은 플랫폼과 콘텐츠 중심의 새로운 판도로 재편되고 있다. 브랜드와 마케터들에게는 더욱 정교한 데이터 분석과 플랫폼 특화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단순한 노출보다 콘텐츠의 질과 진정성이 구매 전환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면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선택이 아닌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2025년 뷰티 트렌드에 대한 상세 내용을 담은 ‘2025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는 피처링 공식 홈페이지 내 유용한 자료 메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