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12일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여론조사) 50%'인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기로 결론 내렸다.
민주당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전부터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원 토론회 후 국회에서 전체회의, 당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 등을 거쳐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투표에 나서는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으로 이들이 50%의 권리를 행사한다. 나머지 50%는 국민여론조사 투표 방법이다.
당은 경선 여론조사 등에 참가할 국민을 내주 말까지 모집해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방식이 변화해 왔다"며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은 또한번 변화를 맞이한다.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비명계(비이재명계) 대선 주자들은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의 국민참여경선 방식 결정이 알려지자 일제히 반발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 고영인 전 의원은 이날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된 16대 대선 경선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된 20대 대선 경선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룰을 바꾸려면 후보 당사자 측과 함께 논의 테이블을 만들어서 납득할만한 룰을 도출해야 한다"고 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이날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도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도 "경선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비민주적으로 했다"며 "역선택을 우려해서 결정한 것으로 들었지만 아쉽긴 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