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가 개발 중인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후보물질 ‘BBT-877’이 임상 2상에서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시장의 기대를 모았던 후보물질이 주요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한 만큼 단기적으로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 2상 탑라인(주요 지표) 데이터 분석 결과, 1차 평가지표인 24주차 강제 폐활량(FVC) 변화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임상은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 안전성,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 미국, 호주, 폴란드, 이스라엘 등 5개국에서 진행됐다. 총 129명의 환자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 신약 물질의 효능 평가를 위한 1차 1표인 24주차 강제 폐활량의 변화가 약물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관찰됐으나, 두 군 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브릿지바이오는 “최종 임상시험 결과보고서를 수령한 후 하위 그룹 분석, 바이오마커(생체지표) 결과 및 고해상도 CT 영상 분석 등을 통해 개별 환자의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임상 개발 및 사업 전략을 재수립할 예정”이라고 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 조직이 점차 딱딱해지며 폐 기능이 저하되는 희귀질환으로, 중앙 생존 기간이 3~5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BT-877은 오토택신이라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전으로 개발 중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결과를 임상 실패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브릿지바이오는 앞서 2019년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 BBT-877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2020년 해당 계약은 독성 우려 등을 이유로 해지됐다. 이후 단독 개발로 전환하며 반등을 노렸지만 2상 주요 지표 미충족이라는 결과로 투자자 신뢰 회복은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임상 결과 발표는 단기적으로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면서도 “후속 분석 결과에 따라 세부 타깃 환자군을 재정의하거나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데이터를 제시할 경우 회복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