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 이상 경기도민 2명 중 1명은 자녀를 키우는데 드는 경제적 부담을 저출생의 원인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이 15일 발간한 ‘저출생에 따른 경기도 인구구조 변화 전망 및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20세 이상 경기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47.8%가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저출생 문제의 첫 번째 원인으로 꼽았다.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12.7%)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10.1%), ‘주택 마련의 어려움’(8.9%)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경기도의 합계출산율은 0.79명으로 2023년(0.77명)보다 소폭 늘었다. 그럼에도 외부 유입 없이 현재의 인구수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2.1명)에는 크게 부족하다. 설문조사 응답자들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면 ‘여성의 사회활동과 육아가 가능한 일·가정 양립 지원’(30.1%)이나 ‘청년층이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못하는 원인 해소’(29.2%)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출생아 및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31.5%), 중장기적으로 ‘성평등, 다양한 가족의 수용성과 같은 문화로의 변화’(21.5%)가 각각 꼽혔다.
보고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생 등 인구 문제를 해결하려면 균형과 포용의 인구 전략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이를 바탕으로 가족·교육·노동·주거 등 영역별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해당 과제로는 경기도 노인통합돌봄지역 전담조직 운영조례 제정이나 인구감소 지역 학교의 역할 재구조화, 지역별 빈 일자리 실태 조사 및 외국인 실업자 일자리 매칭서비스, 경기도 공공주택 통합 대기자 명부 도입 등이 제시됐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장은 “출생율 회복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병행해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인구 전망을 토대로 한 저출생 대응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투 트랙(two-track)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