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유동필, 글로벌 브랜드와 협업… 몰입형 가상 경험 이끄는 UX 디자이너로 주목

[사진= 월마트 브랜드 3D 인터랙티브 스토어 프로젝트]




몰입형 가상 경험과 메타버스를 디자인 언어로 풀어내는 UX/UI 디자이너 유동필(Dongphil Yoo)이 글로벌 브랜드들과의 협업을 통해 디지털 공간에서의 창의성과 기술 융합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뉴욕을 거점으로 활동 중인 그는 메타버스 플랫폼 ‘Spatial’에서 인터랙티브 3D 공간 프로젝트들과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디자인하며, 월간 10만 명 이상의 이용자에게 색다른 가상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유동필은 McDonald's, Walmart, Vogue, Hugo Boss, Hublot, Jack Daniel's 등 세계 유수의 브랜드와 협업하며 디지털 플랫폼 안에서 사용자 경험의 가치를 재정의해왔다. 특히 McDonald’s와의 음력설 프로젝트에서는 영상감독 카렌 X 청(Karen X Cheng)과 함께 아시아 문화와 혁신을 기념하는 가상 세계를 선보였다. 그는 동아시아의 12지신을 모티프로 한 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웹, 모바일,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몰입형 경험을 설계했다.

그의 디자인적 감각은 월마트와 진행한 힙합문화 50주년 기념 프로젝트 ‘컬쳐버스(Cultureverse)’에서도 빛을 발했다. 이 프로젝트는 2D와 3D가 결합된 디지털 공간에서 게임적 요소와 서사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힙합의 역사와 창작자의 진화를 시각적으로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잭 다니엘(Jack Daniel’s)의 메타버스 프로젝트 ‘더 버스(The Verse)’는 유동필의 가장 상징적인 작업 중 하나로 꼽힌다. 아프로퓨처리즘을 주제로 구성된 3D 가상 세계는 30여 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한 디지털 갤러리로 구현됐으며, AI 기반 모션 캡처 기술과 가상 공연 요소를 더해 관람객과 예술 콘텐츠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했다. 이 프로젝트는 총 3,88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Ad Age의 ‘지금 알아야 할 5가지 메타버스 경험’에 선정됐고, Shorty Awards에서는 몰입형 부문 최종 후보로, 다문화 커뮤니티 참여 부문에서는 청동상을 수상했다.

[사진= 휴고 보스 버츄얼 쇼룸 프로젝트]




그의 기술 기반 디자인은 어워드에서도 주목받았다. 유동필이 디자인한 ‘Metaverse Creator’는 NYX Awards 웹사이트 부문 사용자 경험 분야에서 은상을, Vega Digital Awards 사용자 상호 작용 부문에서도 은상을 수상했다. 이 프로젝트는 AI와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해 누구나 손쉽게 3D 메타버스 콘텐츠와 가상 공간, 아바타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교육, 디자인, 마케팅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협업을 이끌어냈다.

뉴욕대학교 티시 예술학교(Tisch School of the Arts)에서 인터랙티브 디자인 및 미디어 아트 석사를 마친 그는 예술 전시와 디지털 설치 작업도 병행하며 테크 기반 예술의 확장을 탐구하고 있다. 한국의 나비아트센터에서는 실시간 AI 기반 초상화 전시 ‘Humans of Nowhere’를 통해 기술과 인간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졌으며, 아이슬란드의 하르파 콘서트홀(Harpa Concert Hall)에서는 대형 LED 미디어 파사드 설치작 ‘DICE’를 통해 시각적 서사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또한 그의 웹 기반 프로젝트 ‘Timeline of the Far Future’는 패스트컴퍼니(Fast Company)의 Innovation by Design Awards에 이름을 올렸으며, Awwwards에서는 ‘Website of the Day’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해당 프로젝트는 먼 미래의 시간을 다룬 상호작용형 내러티브로, 디지털 시대의 시간 감각과 인간 상상력의 경계를 탐구했다.

“디지털 환경 속에서 인간의 창의성과 기술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 왔다”는 유동필은 “앞으로도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몰입형 경험을 통해 디지털 공간 속 새로운 문화적 가능성을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