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도심 내 방치된 빈집을 주민 생활에 필요한 공간으로 바꾸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부산시는 빈집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협의체의 평가를 거쳐 영도구와 동구의 빈집 4곳을 올해 ‘빈집 매입 및 생활 사회기반시설(SOC) 조성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지난달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이들 대상지를 선정했다. 영도구는 동삼동과 청학동에 있는 빈집 2곳을 활용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숙사로 개보수하고 동구는 수정동 빈집 2채를 철거해 소규모 체육공원을 조성한다. 특히 수정동 빈집 지역은 건물 붕괴와 범죄 우려가 컸던 곳으로, 주민 안전과 건강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시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빈집정비 혁신 대책’의 실행계획에 따라, 기반시설이 부족한 빈집을 매입해 주민이 원하는 생활 SOC로 전환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시는 올해까지 시·구비 14억 원을 투입해 빈집 매입, 철거 및 중개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도 매도 의사가 있는 빈집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사업비를 추가 확보해 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시 최초로 빈집을 공유재산화해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모델”이라며 “단순한 매입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주거환경 개선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