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2020년 1월부터 지난해5월까지 4년 간의 코로나19 대유행에 대한 대응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대응 백서’를 발간했다.
15일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코로나19 백서는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은 ‘K방역’ 경험을 정리해 새로운 팬데믹 상황에 신속하고 협력적인 위기관리와 방역체계 수립의 기반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2020년 코로나19가 국내에 유입된 이후부터 2024년 5월 위기단계가 관심로 하향되기까지 국내 총감염자는 3443만6585명에 달한다.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자는 발생하고 있고 코로나19를 앓은 후 일부 사람들은 ‘코로나후유증’으로 고생하고 있다.
코로나19 후유증으로는 피로, 호흡곤란, 두통 등이 있다. 특히 인지장애, 삼킴 장애, 운동 후 불쾌감 등이 장기간 지속되는 ‘롱코비드’를 앓는 환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표준질병 코드상 코로나19 이후 나타난 증상, 혹은 이와 관련된 다발 계통 염증성 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는 총 27만 4372명이다. 롱코비드는 피로 같은 일반적인 증상과 함께 호흡기, 신경계, 소화기 관련 증상이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과 코로나19 중증을 앓은 사람, 천식 같은 기존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은 롱코비드 위험이 높았다. 반면 감염 전 백신 접종이나 규칙적 신체활동과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은 롱코비드 위험을 줄이는 보호 요인으로 확인됐으며, 오미크론 변이 유행 후에는 감염자들의 롱코비드 위험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환자를 위한 검사나 진료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지역에서 폐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비, 한약 처방 등이 지원될 뿐이다. 백종헌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는 “의료기관 관리, 병상 확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뿐”이라고 설명했고, 질병청은 “코로나19 후유증은 감염병이 아니라서 관여할 법적 근거가 없으니, 예산을 사용할 수 없다”고 했다. 백 의원은 “책임 부처가 부재한 탓에 검사·진료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반면 영국 국가보건서비스는 약 90개 병원을 후유증 클리닉으로 지정·운영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후유증 치료를 지원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증 수준 환자가 중증 환자로 넘어가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 절차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코로나19 백서는 코로나19 기본 정보 등 개관, 시기별 대응 경과, 코로나19로부터 얻은 교훈과 향후 과제 등 총 3편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국민과 관계기관이 코로나19 관련 정보와 대응 경과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향후 팬데믹에 대비하는 정부의 대응 방향과 계획도 함께 공유하고자 했다. 특히 감염병 위기 속에서도 국민의 일상 회복을 위한 노력과 정책적 결정 과정을 상세히 담아, 향후 새로운 팬데믹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협력적인 위기관리와 회복탄력적 방역체계 수립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번 백서는 정붕롸 의료진, 국민 모두가 함게 만든 기록으로 다음 감염병 위기에도 흔들림 없이 대응하기 위한 소중한 자원”이라며 “앞으로도 질병청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한 일상을 지키기 위한 방역체계 고도화로 향후 감염병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