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경북·경남·울산 산불피해에 대한 정밀 조사 결과, 10만4000㏊의 산림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최종 피해 면적은 추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산불 피해조사는 지자체에서 1차 조사를 3월 28일부터 4월 8일까지 시행했고 이후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1차 피해조사 결과에 대해 지자체와 같이 2차 현장확인을 4월 9일부터 15일까지 실시했다.
이번 산불의 경우 비화 등 산불의 빠른 확산과 산불 진화 이후 열로 인한 추가 고사 등으로 피해면적이 증가했다.
지역별 잠정 산림피해면적은 △경북 9만9289㏊(의성 2만8853㏊, 안동 2만6709㏊, 청송 2만655㏊, 영양 6864㏊, 영덕 1만6208㏊) △경남 3397㏊(산청 2403㏊, 하동 994㏊) △울산(울주) 1190㏊이다.
산림청은 산불진화 완료 당시 산불영향구역이 4만8000㏊였으나 이는 산불진화를 위한 것으로 산림복구를 위해 이번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산불피해면적과는 활용 목적과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산불의 경우 극한기상으로 인한 태풍급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서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으로 포함되지 않았고 강풍, 연무 등으로 화선 관측 장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산림청은 향후 초고속·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강풍, 연무 상황에서도 화선 관측이 가능할 수 있는 고정익 항공기, 중·고고도 드론, 위성 영상 활용 등 2중, 3중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산사태,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집중조사 지역 4207개소에 대해 3월 28일부터 4월 11일까지 긴급진단을 완료했다. 조사된 지역은 2차 피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응급복구를 실시하고 생활권과 주요시설물 주변의 산불피해목을 신속히 제거하기로 했다. 특히, 피해 정도에 따라 자연복원·생태복원·조림복원 등 다양한 복원방법을 적용해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하고, 임업인의 소득기반을 재건할 계획이다.
또한 산불피해지의 체계적·합리적 복구를 위해 피해주민, 산주는 물론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지역 단위의 ‘산불피해지 복원추진 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 안전, 환경, 생태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산불의 규모가 큰 만큼 피해지의 응급복구가 시급한 시점”이라며 “산주와 임업인 그리고 지역주민의 조속한 피해 회복과 일상으로의 복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