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뿐인 기업 친화도시, 과도한 기업 옥죄기 인가.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복합쇼핑몰이 없던 광주에 ‘복합쇼핑몰 3종세트’라는 희소식이 들려왔지만, 현지법인 타이틀을 달고 있는 광주신세계백화점(광주신세계)의 ‘광천터미널 복합화사업’이 잠잠하다.
이 사업은 무려 4조 4000억 원 규모로 예상되는데, 사업 주체인 광주신세계가 사업 제안서를 광주광역시에 제출하지 않은 상태다.
무슨 이유일까.
광주시는 지난해 10월 말 광천터미널 부지를 도시계획 변경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했으며 광주신세계가 기존 협상 조건을 반영해 제안서를 내면 6개월 이내에 본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성 문제로 협상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주시는 사전협상 대상지 지정 때 제시된 주상복합 516세대 건립을 기준으로 협상을 시작한다는 반면, 광주신세계는 시의 요청인 터미널·학교·병원·공연장·특급호텔 등을 함께 조성하려면 높은 투자 비용이 들기 때문에 사업 안정성과 수익성을 고려, 주거시설 규모를 최소 800세대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상황 속에 광주신세계는 말을 아끼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광주시가 ‘다된 밥’을 또 다시 놓칠 우려를 제기한다.
실제 울산광역시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울산시는 신세계의 오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백화점 대신 83층, 2500세대 대규모 주거산업복합단지 2개 동 조성으로 사업 방향까지 바꿨다. 과거 똑같은 행태를 반복중인 광주시와 정반대의 행보다. 이번 사업 성공을 위해 정치권까지 가세한 상황이다.
앞서 신세계는 지난 2015년 광천동 일대 복합개발을 제안했으나 지역의 반대 등으로 좌초돼 사업지를 대전으로 옮겨진 사례가 있다. 이 사업을 놓친 대가는 혹독(?)했다. 대전에 세워진 ‘신세계 Art &Science’는 연 방문객 2400만 명에 달하는 중부권 랜드마크로 자리잡으며 막대한 고용창출 등 막대한 지역경제 효과를 누리고 있다.
‘어게인 대전 이전 사태’를 우려한 듯 광주 경제계에서도 심각성을 알렸다. 지난 3일 광주경영자총연합회는 광주신세계 확장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광주시와 인허가 기관의 조속한 지원을 촉구하는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특히 광주상공회의소는 지역 기업의 확장이나 글로벌·타지역 기업의 광주 유치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을 표시했다.
‘광주의 지리적 조건은 유리하지 않다. 자본도, 시간도, 기회도 광주만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광주의 한 지방지 언론 기고에 광주신세계 ‘광천터미널 복합화사업’과 관련해 착잡한 마음을 담은 글이다.
일각에서는 광주신세계가 30년 간 이어온 소외계층 지원, 장학사업, 예술가 지원 등 사회공헌 활동 공로는 외면한 채 광주시의 과도한 기업에 떠 넘기기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기업들은 자선단체가 아니다. 이제는 그 수익이 지역 발전과 맞물릴 수 있다면, 과거의 틀을 벗어나 과감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