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식당가에서 세계적 미식 평가 안내서인 ‘미쉐린 가이드’ 등재를 꺼리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 이름을 올린 식당이 별점을 자진반납하는 사례도 등장해 이목을 끌고 있다.
21일(현지 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이탈리아 레스토랑 ‘칠리오’는 지난해 10월 미쉐린 측에 별점을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공동 소유주 베네데토 룰로는 별점으로 인해 ‘지나치게 격식 있는 식당’이라는 선입견이 부담됐다고 밝혔다.
룰로는 “티셔츠와 샌들, 반바지 차림으로도 고급 레스토랑에 갈 수 있어야 한다”며 편안한 식당을 추구하는 자신들의 방향성과 미쉐린 별점이 주는 이미지가 충돌한다고 밝혔다.
프랑스 셰프이자 분자요리의 대가로 불리는 마르크 베라는 더 나아가 프랑스 메제브 스키 리조트에 새로 오픈한 레스토랑에 미쉐린 비평가들의 출입 자체를 금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움직임의 배경에는 별점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감도 자리하고 있다. 2011년 런던 미쉐린에 선정된 레스토랑 ‘피터샴 너서리’의 셰프 스카이 긴겔은 “미쉐린의 별점이 저주가 됐다”며 고객들의 과도한 기대와 업무 부담에 시달렸다고 토로했다. 그는 “미쉐린 가이드에 등재된 후 일이 너무 바빠졌고 파인다이닝 경험을 기대하는 고객들의 불만에 시달렸다”고 밝혔다.
한편 미쉐린 가이드도 변화의 압력에 직면해 있다. 가이드북 수익이 감소하자 각국 관광 당국으로부터 자금을 받기 시작했고 친환경적 노력을 평가하는 ‘그린 스타’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평가 시스템을 구축했다.
음식 비평가 앤디 헤일러는 “2016년부터 2018년 사이 미쉐린은 비즈니스 모델을 변경했다”며 “더 이상 인쇄된 가이드북을 사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한국, 미국, 중국 등의 관광청으로부터 자금을 받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 과정에서 평가의 객관성 문제가 제기됐다. 헤일러는 “미쉐린이 관광청으로부터 수백만 달러를 받고 ‘식당들이 형편없어 별을 줄 수 없다’고 말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온라인에 게시된 평가가 대부분 인공지능(AI)이 작성한 처럼 느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미쉐린 측은 “레스토랑 선정과 스타 부여 과정은 여전히 신뢰할 만한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후원과 등급 부여 팀은 별개로 운영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