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민이 도보 30분 거리 안에서 일상의 모든 기능을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2022년 3월 서울시가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처음 제시된 개념이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업무와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이다.
서울시는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등 8곳을 시범사업지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에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 가로(街路)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오는 9월까지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서울 전역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