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층 무주택자를 위해 출시한 청년주택드림대출로는 수도권과 대도시에서 신축 아파트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공급된 서울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1만 643가구) 중 청년주택드림대출을 받을 수 있는 아파트는 1.8%(192가구)에 불과했다.
이 대출은 만 20∼39세 무주택자가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대금의 최대 80%를 최저 연 2.4%로 대출해 주는 정책 금융상품으로 지난 18일 출시됐다. 5대 시중 은행 주택 담보 대출 금리 하단이 4%대인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상 주택은 분양가 6억 원·전용면적 85㎡ 이하로 한정되며 대출 한도는 최대 3억원(신혼부부 4억 원)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지역별 공급 물량에서 울산은 22.4%(1485가구), 대구는 25.2%(1347가구), 부산은 33.6%(3337가구)만이 대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도시임에도 무주택 청년층이 대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분양 물량은 3가구 중 1가구 정도에 그치는 셈이다.
제주는 일반 분양으로 총 1913가구가 공급됐지만 대출 대상 가구는 '0'이다.
단위 면적당 가격을 기준으로 대출 자격이 되려면 59㎡(공급면적 25평) 아파트는 3.3㎡당 2400만 원, 85㎡(공급면적 34평) 아파트는 3.3㎡당 1765만 원 이하에 분양가가 형성돼야 한다. 서울의 경우 60㎡ 이하의 평균 분양가는 4733만 원, 60∼85㎡ 이하 평균 분양가는 5133만 원으로 나타났다. 평균 분양가로만 보면 서울에서는 청년주택드림대출이 나올 수 없는 셈이다.
부동산R114는 수도권에서는 경기·인천지역의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받는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지방에서는 중소도시 내 도시개발사업구역 등에서 청년주택드림대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다만 작년에 이어 올해도 분양가 상승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청년주택드림대출이 허용되는 청약물량은 지난 해 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대출 주택 요건 등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