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세계보건기구(WHO) 주관 합동외부평가를 8월 25일부터 30일까지 받는다고 24일 밝혔다. 평가는 신종감염병 등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는 역량을 다루며,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변화된 위기대응 역량 평가에 범부처 차원에서 대비할 계획이다.
질병청은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글로벌 보건위기 대비 범부처 역량 평가 계획을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WHO의 합동외부평가는 국가 간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채택한 국제보건규칙(IHR)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공중보건 위기 대응 역량을 평가, 개선안을 도출해 국가행동계획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2016년부터 각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번이 2차 평가다.
우리나라는 메르스 사태 이후 국가방역체계 개편에 따라 2017년 처음으로 합동외부평가를 받은 바 있다. 당시에는 예방접종·식품안전 등 대부분 영역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지만 원헬스(사람·동물·환경의 건강을 균형 있게 조정하고 최적화) 차원의 지역 인력 개발 등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평가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변화된 공중보건 위기 대응 역량을 점검한다. 4개 분야의 19개 평가 영역, 56개 세부 지표에 대해 정부가 자체 평가보고서를 작성하면 이를 바탕으로 외부평가단이 방문·서면 심사, 발표, 토론을 통해 지표별 점수를 확정한다. WHO는 코로나 사태를 거치며 전 세계적으로 건강 불평등이 심화한 점을 고려해 평가 전반에서 형평성 제고 여부를 보겠다고 밝혔다.
질병청 외에도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12개 부처가 합동으로 준비한다. 이미 지난달부터 관계부처 합동 추진단을 구성해 분야별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및 검토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8년 만에 시행되는 WHO 합동외부평가를 통해 보건안보 분야에서 우리나라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평가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